이화의 전략을 통한 사물의 재맥락화
윤진섭/미술평론가
김건주 조각의 기본 어법은 ‘이화(異化:alienation)’다. ‘소격’ 혹은 ‘낯설게 하기’라는 말과 동의어다. 이 기법은 사물들이 일상적 맥락으로부터 벗어남을 근간으로 한다. 세계에 기반을 둔 사물과 사물간의 관계, 세계와 사물간의 관계, 그 질서정연한 체계에 대한 반란과 그로인한 전복이 김건주가 꿈꾸는 세계다. 그 과정에서 ‘낯섬’이 발생한다. 이화 기법을 통한 그의 전략은 사물의 전복을 통한 사물의 ‘다시 보기’다. 사물은 기존의 일상적 지평에선 언제나 그렇듯 상투적일 수밖에 없다. 김건주는 일상적 사물에게서 상투성을 벗겨내고 새로운 옷을 입힌다. 그가 즐겨 사용하는 데페이즈망 기법은 이미지의 환치를 통해 사물의 새로운 모습을 제시하기 위해 동원되는 장치다.
김건주는 말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 인간, 자연, 사물, 사건, 정황. 그들은 어떤 순간에 어떤 조합으로 만나 고유한 관계를 형성한다. 시시각각 달라지는 무수한 관계들은 예측할 수 없이 늘 새로운 신화들이다.”
일종의 이미지 채집이랄 수 있는 <신화>와 <컬렉션> 연작은 그리하여 사물들로 구성된다. 아니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사물에 대한 개념의 집합이다. 바이올린, 자유의 여신상, 닭, 아기천사, 가구, 톱니바퀴 등등 일상적 사물들은 실체가 없다. 희게 칠해진 쉐이프트 캔버스의 부조들은-그것은 회화일까, 조각일까?-윤곽선을 따라 도려낸 형상을 통해 사물에 대한 정보만을 알려 줄 뿐이다. 사물의 윤곽선들이 서로 겹쳐져 전체적인 작품의 형태를 이룬 <신화> 연작에서 특이한 것은 이 작품이 정방형의 단색 캔버스에 얹혀져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이 작품이 회화적 전통과 관례를 좇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굳이 그의 작품을 두고 회화냐 조각이냐 하는 신원에 대한 해묵은 논쟁을 꺼낼 필요는 없다. 그것이 회화든 조각이든(그의 부조작품에는 유독 검정색의 예리한 실선 드로잉이 나타나고 있다) 중요한 것은 그가 영역에 대한 경계 흐리기를 계속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명백히 조각의 영역에 속하면서 그의 기민한 상상력을 잘 표출시킨 작품이 바로 <컬렉션> 연작이다. 가방에서 힌트를 얻은 이 연작은 말 그대로 이미지 채집을 여실히 보여준다. 나비, 돼지, 개, 톱니바퀴, 가구 등등 사물의 다양한 이미지들이 채집돼 있다. 옆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띤 모양에 위에는 손잡이가 달려있어 한눈에 가방임을 알 수 있다. 일종의 투각기법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는 가방임을 암시하는 큰 형태소(形態素)와 그 안에 내재된 다양한 사물들의 작은 형태소를 담고 있다. 작은 형태들의 윤곽선은 게쉬탈트 심리학에서 자주 인용되는 도(figure)와 지(ground)의 관계를 연상시킨다. 구름, 나뭇잎, 바이올린 등 다양한 사물의 이미지들을 고부조의 형태로 빚어 벽에 걸거나 (신화 연작) 혹은 소파, 구름, 책, 인체의 일부(상체), 물고기 등을 환조로 만들어 공공에 매단 <낯선 표류> 연작은 초현실적 풍경을 보여준다. 그 중에서도 특히 <낯선 표류> 연작은 명백히 초현실주의적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사물들이 공중에 떠다니는 듯한 느낌을 통해 관객들은 기존의 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맥에 사물을 위치시키는 재맥락화의 전략을 통해 사물의 숨겨진 면모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미지 조작을 통해 사물의 다른 모습을 보여주려고 한 시도로는 작업실에 들어 온 사람을 사진으로 찍어 컴퓨터 조작으로 추상화(抽象化)한 작품 <무빙>을 들 수 있으며, 한 면은 불의 이미지, 다른 면은 서있는 사람의 윤곽선을 날카롭게 도려내어 둘을 결합시킨 <독백>이 있다.
김건주는 불, 공기, 물, 바람, 풀 등등의 자연적 원소와 인간과 사물이 뿜어내는 에너지랄까 기와 같은 불가시적 속성을 지닌 물질조차 표현의 대상으로 삼는다. 그에게 있어서 조각은 그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회화적 요소와 함께 불가시적인 것을 가시화하는 매개체요 수단이다.
A Re-Contextualization of Things, Through Alienation
By Yun Jin-sup, Art Critic
The basic language of Kim Kun-ju’s sculpture speaks of alienation, and refers to estrangement and de-familiarization, while the backbone of his technique is the de-contextualization of things. The world he dreams of is a revolt against, subversion of orderly systems between objects and objects and the world, in which de-familiarization arises. Through alienation, Kim attempts to review objects through subversion. Things in daily life often appear hackneyed. Kim rids them of clichés by adorning them with new clothing. The depaysement technique he uses is provides objects with a new look.
For Kim Kun-ju, “All things existing in this world, such as humans, natural things, objects, incidents, and certain aspects, form specific relations through certain combinations, in a certain time. A myriad of relations changing every moment are all the time unpredictable, like new myths.”
Kim’s two serial works Myths and Collection regard things. More accurately, they are the material convergence of their concepts. Everyday objects like furniture, a violin, a Statue of Liberty, a chicken, a cherub, and a saw-toothed wheel appear in relief on white canvas, which appears like a painting and sculpture, to present the contours of objects. (Acute black line drawing particularly stands out in his relief work.) In Myths, contours overlap to form a shape on square, monochromatic canvases. Myths speaks of Kim’s pursuit of painterly tradition and convention that through bas-relief, blurs the lines between sculpture and painting. Collection on the other hand is a sculpture indicative of Kim’s acute imagination. Inspired by the shape of a bag, it presents a collection of images, including a butterfly, swine, dog, saw-toothed wheel, and furniture. Its overall shape is rectangular with a handle on top, so we see it in a glance as a bag. Pierced on closer inspection, Collection is composed of large and small elements, one suggesting a bag, the other a variety of objects, whose combined contours echo the Gestalt notion of figure and ground. While the images of cloud, leaf, and violin in high-relief suspend on the wall in Myths, the images of a sofa, cloud, books, and fish, carved in the ground, hang in the air in Unfamiliar Drift. The atmosphere evoked by it is surreal. Each object appears to float in the air, so viewers can discover hidden aspects of things, through Kim’s re-contextualization, placing objects in a new context.
In Moving Kim shows those in a studio and represents them in abstract form by digitally manipulating their images, attempting to present another aspect of things. In Monologues he combines the image of fire with the sharply cut contour of a standing person. The subjects of his representation encompass natural elements such as fire, air, water, wind, and grass; and even invisible attributes like energy and “Gi” (spiritual energy). For Kim Kun-ju, sculpture is the vehicle and medium of visualizing the invisible alongside painterly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