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주 공중부양 연대기, 혹은 의자낯선 표류

반이정 미술평론

사진 자료에 의존하면 공기압축으로 팽창된 투명 우레탄 비닐 속에, 왜소한 나무의자가 갇혀 허공에 떠 있는 <의자 A chair>는 98년에 이어 2000년 두 차례 출품된 것으로 되어있다. 독일에서 막 귀국한 유학생들에게서 어렵지 않게 발견되는, 평범한 일상 오브제를 희롱하는 개념주의적 잔재를 보는 느낌이 강한 진지한 실험작인데, 유감스럽게도 현재 이 작품은 남아있질 않다. 다른 작품들이 근접거리에 나란히 설치된 2000년의 설치 장면보다 단독자의 의지가 강렬했던 1998년 설치가 깊은 인상을 남긴 까닭은 실재(의자)를 바닥 면으로부터 분리시킨 일개 압축공기의 집결체(투명 우레탄비닐)의 존재감이 다른 오브제의 간섭 없이 제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의자는 마치 얼핏 중력의 논리에 비논리적 저항으로 공중에 떠있는 것이다. 물론 이 작품은 제조 원리상 오래 버틸 수 없었을 것이다. 시간경과에 따라 유출되는 공기의 의지마저 거스르긴 어려웠을 터이다. 오브제를 바닥에서 떠올리는 제작 원리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김건주에게서 끊임없이 발견되는 저항 논리다. 물론 세간의 평가처럼 작품들 간 외관상의 유기성이 결여된 것도 사실이지만 상호무관 해 보이는 작품 연보를 잇는 것은 가시적인 연관성이 아니라, 무게감을 저버린 공중부양이라는 비가시적 개념 그 자체다. 지난 과거 국내 미술대학의 고전주의 도그마가 젊은 학생들의 상상력을 유린하고 황폐화 시킨 혐의는 근자들어 발견되는 무게감 없는 조각 작품의 열기를 통해 충분히 반증되는 분위기다. ‘톤(ton)’ 단위의 중량감 있는 덩어리를 비로소 조각으로 인식했던 아카데미의 요구와 경직된 미감에 증오를 품었던 학생 김건주는 그때부터 줄곧 경량화 된 조소의 가능성을 타진 중이었다. 재료의 무한 혹사를 포기하고 가벼운 조각가로 거듭나는 부활의 장면은 이제 기성화단의 조각은 물론 미술대학 과제전에서조차 흔쾌히 발견되는 현상이 되었지만 적어도 그가 재학 중이던 그때 상황은 그렇질 못했다. 98년 의자에서 상징적으로 시작한 그의 ‘가벼운’ 행보는 같은 해 투명 비닐에 스크래치를 낸 여행가방 작품, <여행 Travel>에서도 목격되며, 이태리 카라라에서 우연히 주운 미가공 상태의 백색 대리석을 공기 압축된 투명 비닐 위에 눌러 붙여, 꽃 아닌 꽃을 제조한 2000년 작 <Stone>으로도 연보를 잇는다. 그러나 막연히 소재의 질량을 줄이는 것만이 그가 전념한 경량화 노력의 전부는 아니다. 한해 지난 2001년 <몽환의 숲 Phantasy forest>은 측정불가 한 무한 질량의 숲을 작가가 무게감 제로(Zero)상태의 개념으로 환원시킨, 진정 가벼운 작업이기 때문이다. 사물의 본질을 사물의 볼록한 외관과 그걸 둘러싼 오목한 공기로 인식한 2000년 <Island-7 door>가 요철효과를 물질적 차원에서 고민한 거라면, <몽환의 숲>의 시도는 요철 효과는 고스란히 차용하되 실험 대상을 연장(延長)성 있는 물질이 아닌, 작가의 의식 속에서 탈 물질화된 숲에 대한 기억을 선의 흐름으로 환원시킨 경우이다. 다시 98년 <의자>로 돌아와 보면 무게감 논의를 잠시 접고, 의자가 무엇이었는가를 따져보자. 여기서 김건주의 비유기적 유기성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공중 부양한 의자는 기실 작가 자신의 ‘붕 떠버린’ 처지가 물성으로 재현된 경우일 것이다. 이 사실을 보강하는 경우는 제목부터가 1인칭 시점을 고수한 2002년 작 <독백 Monolog>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도식화된 인체 입상의 실루엣이 연장되다가 중간에서 약 60도 각도로 한차례 ‘꺾이면서’ 불길 실루엣으로 전이되는 작품이다. 무게를 측정하기 어려운 불길(불은 실체는 가시화되지만 연장성이 있다고 간주하긴 어렵다)과 작가를 등가물로 처리한 이 작업은 <의자>가 대리한 작가의 붕 떠버린 위상을 가시화한 결과일 것이다.

2006년 김건주는 공중부양을 재시도 중이다. 지난 고양 스튜디오에는 백색으로 도배된 전시 공간 속에 거듭 백색을 더한 오브제들이 허공에 떠 있었다. 작가의 설명에 따르면 향유고래, 소파, 숲, 펼쳐진 책, 상의(上衣)를 형상화환 다섯 점의 가벼운 오브제들은 그가 처한 무의식, 관계, 자연, 의식, 인간을 각각 표상한단다. 한편 함께 전시된 <Moving>은 그의 고양 스튜디오 방문자를 촬영한 후 이미지를 원심회전 시켜 방명자의 아이덴티티를 화면에서 몰아내고, 최소화된 색채의 조형성만 남겨둔 얄미운 작업이다. 이제 허공으로 사라진 대상은 작가뿐 아니라 그와 관계하는 외부 방문자까지 전이되고 있는 중이다. 그의 오브제는 언제쯤 허공에서 내려와 낯선 표류기의 종지부를 찍을까.

Kim kun-ju’s aerial suspension chronology or the ‘Stranger Drift’ of the ‘chair’

Baan ijung,  art critic

Depending on the photographic data, “Chair A chair”, in which a small wooden chair is trapped in the air in a transparent urethane vinyl expanded by air compression, is supposed to have been exhibited twice in 2000 following 1998. It is a serious experimental work with a strong feeling of seeing the conceptualistic remnants of ordinary everyday objects found without difficulty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just returned from Germany, but unfortunately, this work does not remain at present. The reason why the installation in 1998, when the will of the single person was stronger than the installation scene in 2000, which other works were installed side by side at close distance, left a strong impression is that the presence of a single compressed air assembly (transparent urethane vinyl) that separated the real (chair) from the floor surface is presented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objects. At first glance, the chair is floating in the air as illogical resistance to the logic of gravity. Of course, this work would not have been able to last long due to the principle of manufacturing.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resist even the will of the air flowing out over time. The principle of production that recalls objects on the floor is the logic of resistance constantly found in Kim Geon-joo with a slight time difference. Of course, it is true that there is a lack of organicness in appearance between the works, as public evaluation suggests, but connecting the annals of works that seem irrelevant is not a tangible connection, but an invisible concept itself of levitation that has abandoned its weight. In the past, the allegation that classical dogma at a domestic art university violated and devastated the imagination of young students is sufficiently disproved through the heat of weightless sculptures that have recently been found. Kim Geon-ju, a student who hated the academy’s demand and rigid aesthetics, which recognized the weighted lump of the “ton” unit as a sculpture, has bee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lightweight mockery ever since. The scene of revival, which gives up the infinite overwork of materials and is reborn as a light sculptor, has now become a phenomenon that is readily found not only in sculptures of established artists but at least not in art university projects, but at the time when he was in school. His “light” move, which began symbolically with a chair in 1998, is also seen in the work of a suitcase with a scratch on transparent vinyl in the same year, “Travel Travel,” and continues with his 2000 work “Stone,” which made flowers other than flowers by pressing unprocessed white marble that he accidentally picked up in Carara, Italy, onto the air-compressed transparent vinyl. However, vaguely reducing the mass of the material is not all of his efforts to reduce the weight he devoted. This is because “Fantasy Forest” in 2001 is a truly light work in which the artist reduced an immeasurable, infinite mass of forest to a concept of zero weight. If “Island-7 door”, which recognized the essence of an object as the convex appearance of an object and the concave air surrounding it, considered the uneven effect on a material level, the attempt of “Forest of Dreams” is a case in which the memory of the dematerialized forest in the artist’s consciousness is reduced to the flow of lines, not an elongated material. Returning to “The Chair” in 1998, let’s stop discussing the weight for a while and consider what the chair was. Here, you will find Kim Geon-ju’s non-organic organicity. In fact, the chair that was levitated may be a case in which the artist’s own ‘floating’ situation was reproduced with physical properties. Reinforcing this fact can be found easily in 2002’s “Monologue”, in which the title stuck to the first-person perspective. It is a work in which the schematized silhouette of a human body is extend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flame silhouette by ‘bending’ once at an angle of about 60 degrees from the middle. This work, which treats the artist with an equivalent of a fire (the fire substance is visible, but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elongated), and the fire (the fire substance is difficult to see), may be the result of visualizing the artist’s floating phase represented by “The Chair”.

In 2006, Kim kun-ju was trying to levitate again. In the last Goyang studio, objects that added white again and again in the white exhibition space were floating in the air. According to the artist’s explanation, the five light objects represent the unconscious, relationship, nature, consciousness, and human beings in the shape of a sperm whale, a sofa, a forest, an unfolded book, and a top. Meanwhile, “Moving”, which is displayed together, is a cheeky work that centrifuges the image of a visitor to Goyang Studio and drives the visitor’s identity off the screen, leaving only the formativeness of the minimal color. Now, the object that disappeared into the air is being transferred not only to the artist but also to external visitors related to him. When will his object come down from the air and put an end to the unfamiliar dri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