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도는 시대
김종길·미술비평
김건주의 작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의식과 인식의 다층적 구조를 에두를 필요가 있을 듯하다. 이유는 그의 작품의 조형적 특이성 때문이다. 그는, 문자 텍스트와 이미지 텍스트를 하나로 결합시킨 뒤, 농치듯 작품의 제목을 문자 텍스트로 다시 돌려놓는다. 예컨대 〈Vagabond〉라는 작품은 ‘Vagabond’라는 영문자를 조각으로 전환한 것이다. 조각의 전면은 도넛같이 가운데가 빈 둥근 원이지만, 단면에서는 영문자를 읽을 수 있다. 이러한 형식구조는 대부분의 작품에서 살펴진다. 물론 몇몇 작품은 제외된다. 〈On the road〉, 〈Human tree〉를 비롯한 스테인리스 연작, 그리고 〈Mobius strip〉에서. 그런데 그는 이런 일련의 작품들을 전시공간에 배치한 후 ‘Floating Epoch-떠도는 시대’라 명명한다. 도대체 무슨 의도일까? 두 가지 층위로 들어가 보자.
‘존재인가, 의식인가’라는 물음이 있다. 그 말은 ‘존재가 우선하는가, 의식이 우선하는가’의 문제일 수 있고, 존재라는 ‘실존’과 의식이라는 ‘인식’의 문제일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은 타고난 존재의 계급적 결정과 그것으로부터의 탈각(脫殼. 변혁의지로서의 의식, 인식)을 지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 존재를 둘러싼 이러한 인식-결정론적 사유에의 요구는 20세기를 살았던 많은 ‘20세기인’에게 실존적 자각을 불러일으켰다. 상대적일 수 있겠으나 제3세계의 국가들에서는 여전히 강력한 변혁적 화두일 수 있고, 새로운 세기를 향한 제1세계에서도 철학적 밑개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신자유주의를 관통하는 자본의 세계화가 더 폭력적으로 넓게 확장, 안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문제의식을 이렇게 돌려볼 수도 있을 것이다. 미학인가, 형식인가. 그 말은 ‘미학이 우선하는가, 형식이 우선하는가’의 문제일 수 있고, 미학이라는 ‘개념’과 형식이라는 ‘표현’의 문제일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은 미술작품의 미학적 판단에 의한 결정과 그것으로부터의 끊임없는 탈각(전위적, 전복적 상상을 통한 결정론적 미학의 폐기)을 요구하는 물음일 수 있다. 존재와 의식에서는 ‘지시’(선택일 수 있기에)이지만, 미학과 형식에서는 ‘물음’(선택이 아니라 화두이기에)이다. 존재와 의식의 문제와 달리 미학과 형식은 구분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늘 이 문제에 사로잡힌다. 미학인가, 형식인가. 한 존재는 ‘현실’이라는 강력한 알레고리의 중심에 처할 수 있지만, 한 작품은 완결과 동시에 ‘자본’과 결집되기도 하고, 예술가는 문화자본가로 돌변하기도 한다. 예술가에서 떨어져 나온 작품 그 자체만으로는 지금, 여기의 현실과는 하등 상관없이, 무관하다. 그것은 많은 경우 ‘영원성’을 요구받으니까.
김건주의 작품은 때때로 미학과 형식이 구분되는, 그러니까 미학이 형식에 지배당하는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고, 그 자신의 존재의식은 미학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음이 은연중에 드러난다. 존재-의식-미학-형식의 뫼비우스적 상상이야말로 전복이 아닌 관념일 수 있다. ‘그’가 늘 새로운 것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자각의 끝에서 ‘그’는 그 자신의 ‘환영’과 만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Floating Epoch-떠도는 시대’라는 그의 인식이, 역설적이게도 작품이 아니라 존재일 때 아니면 의식일 때 전위적(?) 예술이 탄생할 수 있지 않을까!
a wandering age
Kim Jong-gil, art critic
In order to release Kim kun-ju’s work, it seems necessary to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perception. The reason is the formative specificity of his work. He combines text and image text into one and, like a joke, returns the title of the work to text. For example, “Vagabond” translates the English word “Vagabond” into a sculpture. The front of the sculpture is a round circle empty in the middle, like a doughnut, but you can read English characters in its cross section. This formal structure is seen in most works. Of course some works are excluded. “On the road”, “Human tree”, and other stainless steel series, as well as “Mobius strip”. However, he places this series of works in exhibition space and names them Floating Epoch. What in the world is he trying to mean? Let’s go into two layers.
There is a question of ‘being or consciousness’. It can be a question of ‘whether existence comes first or consciousness comes first’, ‘existence’ of existence and ‘perception’ of consciousness, and it can also be a matter of the hierarchical decision of natural existence and evasion from it. It may be to direct consciousness, perception) as a will to change. This call for epistemic-deterministic reasons surrounding a being has raised existential awareness among many 20th-century people who lived in the 20th century. It can be relative, but it can still be a powerful transformational topic in countries in the third world, and it is worthwhile as a philosophical underpinning in the first world toward a new century. This is because globalization of capital through neo-liberalism is expanding and settling more violently. This may be the way to turn the above awareness of the problem. Is it aesthetics or formality? It could be a question of whether aesthetics comes first or form, or of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form, and it could also be a question that calls for the aesthetic judgment of the artwork and constant evasion (dismantlement of deterministic aesthetics through potential and subversive imagination). In existence and consciousness it is an instruction (because it can be a choice), but in aesthetics and form it is a question (because it is a topic, not a choice). Unlike matters of existence and consciousness, aesthetics and forms are not distinguishable properties. However, we are always caught up in this problem. Is it aesthetics or formality? One being can be at the center of a powerful allele called “reality,” but one work is combined with “capital” at the same time as completion, and the artist turns into a cultural capitalist. The work itself, apart from the artist, is irrelevant, regardless of the reality here. Because it is often called for ‘eternality’.
It is implicitly revealed that Kim kun-ju’s works sometimes distinguish between aesthetics and forms, so the impression that aesthetics are dominated by forms cannot be erased, and his own sense of being is dominated by aesthetics. Möbius imagination of existence-consciousness-aesthetics-form may be an idea, not subversion. This is because “he” has no choice but to meet his own “welcome” at the end of his awareness that “he” is always moving toward something new. His perception of “Floating Epoch-The Floating Era” can, ironically, create avant-garde art when it is not a work, but when it is a existence or consciousness.